AiPE

티스토리 운영 계획 (수익창출, 웹마스터 RSS 등록/설정, 글 관리, 페이지 최적화 등 기타 팁) 총정리 (작성중) 본문

[XiBBaL] Development Project/Tistory Blog

티스토리 운영 계획 (수익창출, 웹마스터 RSS 등록/설정, 글 관리, 페이지 최적화 등 기타 팁) 총정리 (작성중)

Oshimaker XiBBaL 2023. 1. 12. 12:54
반응형

0. 블로그 방향성

블로그를 쓰는 가장 주된 목적은 아래 3가지이다.

 

  1. 내가 연구개발 하면서 알게 된 지식의 정리. 나중에 내가 기억이 안 나면 찾아볼 수 있도록.
  2. 술값 및 약값을 충당할 수 있을 정도의 수익. 현재는 월 $300정도가 목표이다.
  3. 나중에 프로젝트에 참여하거나 입사를 할 때 포트폴리오의 용도. "나는 이런 일을 하는 사람이다"라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사용하려고 한다. 따라서 내가 어떤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문제가 되지 않는 한 그 과정을 블로그에 정리해서 올리려고 한다.

 

개발이라는 것이 애초에 전문성을 띠기 때문에, 이 블로그를 찾는 사람 대부분은 개발자나 컴퓨터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 될 것 같다.

 

그렇다고 현재 핫한 이슈라던가, 연예인에 대한 이야기라던가 하는 수익성 글을 일체 쓰지 않을 예정이다. 내 전문 분야도 아니고 관심도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 대중적인 글을 쓴다고 하더라도 "컴퓨터와 개발 일 범위 내"에서 혹은 "내 관심사 내"에서 대중적인 글을 쓰겠다.

 

 

1. 수익 창출

1.1 수익 플랫폼 결정

"티스토리 설정 > 블로그 관리 > 수익"에서 어떤 광고를 넣을지 결정할 수 있다.

  • Kakao AdFit → 많이들 쓰는 것 같긴 하지만 같은 조회수/클릭률 당 수익이 Google AdSense에 비해서 몇 배 더 적다고 한다. 그렇다면 굳이 카카오를 쓰는 메리트가 없다. → 패스
  • Google AdSense →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제일 일반적인 광고 플랫폼. 심사가 좀 까다롭다지만 통과한 사람이 많은 것으로 봐서 해볼만하다고 생각한다. 수익이 달러로 지급되는데, 손해를 안 보고 최대한 잘 받을 수 있는 방법을 미리 생각해놓아야겠다. → 선택
  • Dable : 주간 평균 접속자가 1500명 이상이어야 신청 가능하다고 한다. → 패스
  • Tenping : 발음이 중국어같아서 중국기업인 줄 알았는데 한국 기업이라고 한다.. → 처음 써보는거니 인지도가 있는 수익 시스템 쓰고싶어서 패스

 

 

1.2 Google Adsense 수익 구조 이해

 

 

1.3. 수익 창출 전략

 

 

2. 조회수 및 수입 늘리는 방법

Google Adsense로 수익을 창출하기로 결정했으므로 정확히 어떤 기제로 수익을 책정하고 지급하는지 이해해야 한다.

 

블로그로 수입을 얻기 매우 어렵다는 이야기는 익히 들었는데.. 내 블로그는 내 자기만족+정보정리 용도로 쓰는거라 친구들이랑 술먹거나 할 때 짤짤이로 쓸 돈 정도만 나오면 된다.

 

따라서 많은 수익형 블로거들이 하는 것처럼 화제가 되는 주제를 골라서 쓴다거나 하지는 않겠다. 어차피 전문성을 띠기 시작하면 유입이 줄어드는건 어쩔 수 없고, 알 바도 아니다. 그냥 나는 내가 연구하면서 알게 된 것, 정리한 것 등을 공유하고 싶을때 글을 쓰겠다. 즉 쓰고싶은거 쓰겠다는 말이다.

 

2.1. 웹 마스터 (Web Master) 등록

Tistory의 운영주체가 Daum과 Kakao이다 보니 타사 검색 엔진에 잘 노출되려면 각 검색 엔진 웹마스터에 내 Tistory를 등록해주어야 한다.

 

단순하게, Naver의 검색엔진이라면 당연히 Tistory보다 Naver Blog의 게시물에 우선순위를 둘 테니까.

 

기본적인 이름은 웹 마스터 (Web Master)인데 네이버==서치어드바이저, 구글==Search Console, 줌==사이트 검색등록, Bing==WebMaster Tools 등으로 이름이 약간씩 다르다.

 

다만 zum을 제외하면 인터페이스나 작동 원리는 거의 비슷하니까 하나를 제대로 알아두면 나머지를 따로 공부할 필요는 없는 것 같다. 표준은 역시 구글이다.

 

(2023.01.12) 여태까지 내 블로그에 유입된 사람 통계를 봤더니 전부 Daum검색으로 들어온 사람이더라. Google, Naver, Bing, Zum 이렇게 4개의 검색엔진 웹마스터에 내 블로그 RSS를 제공했다. 앞으로 유입경로와 양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예의주시해보겠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Naver Search Advisor)
https://searchadvisor.naver.com/

구글 서치 콘솔 (Google Search Console)
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hl=ko

줌 사이트 검색 등록
(다른 사이트와 다르게 신청서 비스무리하게 생긴 걸 쓰더라)
https://help.zum.com/submit/

빙 웹마스터 툴 (Bing Webmaster Tools)
https://www.bing.com/webmasters/tools/

 

 

 

 

 

 

 

 

 

 

티스토리 문제점 메모

 

1. 수식입력기가 없다. 겨우 HTML편집으로 만들어놔도 불편하고 한글2022에서의 규격과 미세하게 다르다.

2. 한글2022에서 들여쓰기 한 문단을 복붙하면 들여쓰기가 사라진다.

3. CPS를 기준으로 수익을 부과하면 그냥 광고 눌러야지 페이지를 볼 수 있게 스킨을 편집하면 되는거 아님?? 이러면 정책위반인가 .. 알아봐야겠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