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비교 (4)
AiPE
객체지향에서의 인터페이스가 무엇인지에 대해 내가 들었던 자바 강의 선생님께서 좋은 설명을 해 주셔서 이를 그대로 가져왔다. "객체지향은 프로그램의 각 부분을 부품화하는 설계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는 명제를 전제하고 읽어보자. 잘 만들어진 부품이라면 부품과 부품을 서로 교환 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보자. 집에 있는 컴퓨터에 A사의 모니터를 연결하다가 B사의 모니터를 연결 할 수 있다. 또, 집에 있던 모니터에 A사의 컴퓨터를 연결해서 사용하다가 새로운 컴퓨터를 구입하면서 B사의 컴퓨터를 연결 할 수 있다. 모니터와 컴퓨터는 서로가 교환관계에 있는 것이다.이것은 모니터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규격이 표준화 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컴퓨터와 모니터를 만드는 업체들은 HDMI의 규격을 ..
클래스의 속성에 접근하고 값을 다루기 위한 메서드인 Getter와 Setter에 대해 알아보자. Getter와 Setter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클래스의 속성(필드)에 접근하고 값을 설정하기 위한 메서드이다. 주로 캡슐화(encapsulation)를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캡슐화(encapsulation)란? 서로 연관된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다루는 메서드들을 하나로 묶는 행위이다. 이를 통해 캡슐 내의 세부적인 처리과정과 데이터를 숨길 수 있게 된다. 1. Getter 메서드 Getter는 클래스의 필드 값을 반환하는 메서드이다. 클래스의 필드 값이란? 클래스 내에 있는 변수를 의미한다. 클래스 A내에 변수 b, c, d .. 가 존재한다면, b는 A의 필드 값 중 하나가 된다. 단, 클래스 A 내..

가장 먼저 나는 부동 소수점 방식에 대해 공부하면서 아래 자료를 굉장히 많이 참조했다. https://steemit.com/kr/@modolee/floating-point 부동 소수점(Floating Point)란 무엇인가? — Steemit안녕하세요. 개발자 모도리입니다. 이번에는 잠시 다른 주제를 다뤄 보겠습니다. (EOS Dapp 개발 공부를 못하고 있습니다.) 부동 소수점이란 무엇인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주제 선택한 이유steemit.com 컴퓨터가 소수점을 표현하는 방식에는 크게 "고정 소수점 방식"과 "부동 소수점 방식"이 존재한다. 부동 소수점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① 이진수 표현법 ② 고정 소수점 방식 위 두 가지에 대한 기초 지식이 필요하므로 이에 대해 먼저 다루어 보려고 한다...
이번 글은 마인크래프트 서버 여는 법을 총정리하고 비교분석 하는 글이다. 보통 구글에 "마인크래프트 서버 여는법"을 검색하는 사람들은 대규모의 서버를 호스팅하려는 방송인 분들보다는 친구끼리 간단하게 멀티플레이를 하려는 사람이 훨씬 많을 것이다. 대규모의 안정적인 서버를 원한다면 돈을 내서 서버를 구동하거나, 서버컴을 구해와서 버킷 등을 쓰는 방법이 가장 베스트이겠지만 현실적으로 단순히 친구와 멀티플레이를 하기 위해 이정도 돈과 노력과 시간을 투자하기는 쉽지 않다. 일단 마인크래프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방법은 아래와 같이 여러개가 존재한다. 1. LAN서버 열기 친구와 같은 공유기에 접속해놓은 상태에서만 가능한 방법이다. 가장 간단한 방법이지만 같은 공간에 있을 때만 유용한 방법이다. 서버를 열고싶은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