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PE

[기타] 마인크래프트 서버 여는 방법 총정리 및 비교분석 본문

Etc./Games

[기타] 마인크래프트 서버 여는 방법 총정리 및 비교분석

Oshimaker XiBBaL 2023. 1. 20. 14:42
반응형

이번 글은 마인크래프트 서버 여는 법을 총정리하고 비교분석 하는 글이다.

 

 

 

보통 구글에 "마인크래프트 서버 여는법"을 검색하는 사람들은 대규모의 서버를 호스팅하려는 방송인 분들보다는 친구끼리 간단하게 멀티플레이를 하려는 사람이 훨씬 많을 것이다.

 

대규모의 안정적인 서버를 원한다면 돈을 내서 서버를 구동하거나, 서버컴을 구해와서 버킷 등을 쓰는 방법이 가장 베스트이겠지만 현실적으로 단순히 친구와 멀티플레이를 하기 위해 이정도 돈과 노력과 시간을 투자하기는 쉽지 않다.

 

일단 마인크래프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방법은 아래와 같이 여러개가 존재한다.

 

 

1. LAN서버 열기

친구와 같은 공유기에 접속해놓은 상태에서만 가능한 방법이다. 가장 간단한 방법이지만 같은 공간에 있을 때만 유용한 방법이다.

서버를 열고싶은 사람이 싱글플레이로 서버를 열고 싶은 맵에 들어가 <lan서버 열기="">를 누르면 된다.</lan서버>
그럼 마인크래프트 채팅창에 <포트 번호>라는 것이 나오는데, 이를 외워두자.

그 후, 서버를 연 사람의 IP주소를 알아내야 한다.
아래 링크에 들어가면 알 수 있다.

 


서버에 접속하려는 사람은 <멀티플레이>에 들어가서 <직접 연결>을 눌러 아이피주소와 포트 번호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아이피 주소가 192.169.0.1이고 포트 번호가 12345이라면
192.168.0.1:12345를 입력하면 접속된다.

 



2. 하마치(Hamachi) 이용하기

앞의 LAN서버 열기의 방법은 "한 공유기에 묶여 있는 컴퓨터들"을 한 맵에 넣어주는 방법이다.

컴퓨터들이 서로 다른 공유기에 접속되어있을 경우에는 1번의 방법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이 컴퓨터들을 "한 공유기에 묶인 것처럼" 작업해주어야 한다.

이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하마치이다.

 

단,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데.. 하마치가 컴퓨터의 네트워크 설정을 굉장히 많이 건드린다.

 

컴퓨터에 다양한 네트워크 세팅을 해 두었으면 이 세팅이 마음대로 조정된다거나 한다. 만약 컴퓨터를 소중히 여기거나 개발에 쓴다면 시도하지 말자. 어디가 어떻게 망가질지 모른다. (경험담이다.)

 

또한 서버를 여는 컴퓨터에 따라 상대방이 접속하기 위해서 "방화벽을 해제"해야 할 수도 있다. 물론 딱히 문제는 없지만 보안 관련해서 신경을 많이 쓰는 사람들에게는 껄끄러운 작업이다.


자세한 방법은 적기 귀찮으니 구글에 "하마치 마인크래프트"를 쳐서 알아보도록 하자.

 

 

 

3. 버킷(Bukkit) 이용하기

버킷은 마인크래프트 서버 소프트웨어 이름이다.

요즘에는 하도 버킷 버킷 하다 보니 그냥 서버를 여는 소프트웨어 대부분을 뭉뚱그려 버킷이라고 부르는듯 하다.

(스프레이 모기약 종류는 에프킬라, 홈매트 등 많은데 다 뭉뚱그려 에프킬라라고 하는 것 처럼)



터미널에 익숙한 사람에 유리한 방법이다. 초보자는 하지 말자. 마인크래프트 몇시간 하겠다고 몇십시간을 쓸 수도 있다.

가장 정석적인 방법이다. 대부분의 대규모 서버가 서버컴에서 버킷을 돌려 구동되며, 가장 정석적인 방법인 만큼 안정적이다.

다만 유저 불친화적이어서, 게임 좀 몇번 하고 말 사람들에게는 배보다 배꼽이 더 큰 효과를 가져다주게 된다.

자세한 방법은 적기 귀찮으니 구글에 "마인크래프트 버킷 사용법"을 쳐서 따라해보자.

 

 

 

4. Minehut 이용하기

내가 추천하는 방법이다. 귀찮으면 그냥 Minehut을 이용하자.

 

Minehut은 마인크래프트 서버 호스팅 사이트이다.

귀찮게 하마치, 버킷을 이용하지 않아도 Minehut측에서 알아서 서버를 열어서 접속 도메인을 만들어 준다.

 

<멀티플레이>의 <직접 연결>에 해당 도메인을 치고 들어가기만 하면 된다.

 

서버를 구동하기 전에 약간의 광고를 보게 하는데, 이게 수입원인듯 하다.

 

대규모 서버를 위한 유료 플랜도 존재하지만, 그럴거면 버킷을쓴다 친구 3~4명에서 할거면 무료 플랜으로도 그럭저럭 쓸 만 하다.

 

자세한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하자.

https://xibbal-lab.tistory.com/24

 

[기타] Minehut으로 마인크래프트 서버 열기

Minehut으로 서버 여는 법에 대해 간단하게 쓰겠다. Minehut은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대신 호스팅해주는 사이트이다. 무료플랜과 유료플랜이 존재하는데, 친구 4명 이하로 플레이할거면 무료플랜으

xibbal-lab.tistory.com

 

 

 

 

5. 방법 총정리 및 장단점 비교

방법 장점 단점
LAN서버 1. 간단하다. 딱히 방법을 익힐 필요도 없고 속도도 빠르다. 1. 접속 가능한 인원제한이 있다.
2. 서로 다른 공유기를 사용하면 실현 불가능한 방법이다.
하마치(Hamachi) 1. 전문 지식이 없어도 도전해볼 수 있다.
2. 곳곳에 설명 글이 많이 올라와있다.
1. 네트워크 세팅을 너무 많이 건드린다.
2. 서버컴의 방화벽을 해제 해야 할 수도 있다.
버킷(Bukkit) 1. 안정적이다.
2. 대규모 서버에 적합하다.
3. 서버컴이 좋으면 최고의 성능이 나온다.
4. 서버컴과 게임컴을 분리하기 적합하다.
(컴퓨터가 여러 대 있는 사람에게 적합)
1. 어렵다. 공부를 해야한다.
2. 서버컴이 나쁘면 서버 접속자 모두가 렉걸린다.

Minehut 1. 쉽다.
2. 버킷처럼 터미널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1. 4인을 초과하면 서버가 좀 버벅대는 느낌이 있다.
2. 맵 파일이 온라인상에 저장된다. 물론 다운 할 수 있다.

 

 

 

만약 나보고 서버를 열라고 하면 나는 아래와 같이 결정할 것이다. 

 

"친구네 집에 가서 게임" "우리 집에 초대해서 게임" → LAN서버

"친구 3~4명에서 가볍게 플레이" → Minehut

"몇십명이 들어올 대규모 건축서버/PvP서버" "몇달씩 장기적으로 할 예정" → 버킷 (서버컴 게임컴 분리)

 

저번에 하마치 깔았다가 컴퓨터 세팅 다 망가져서 하마치는 절대 안쓸거다. 차라리 버킷으로 열고 말지.

 

 

 



 

반응형

'Etc. > Gam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타] Minehut으로 마인크래프트 서버 열기  (3) 2023.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