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PE

[기타] Minehut으로 마인크래프트 서버 열기 본문

Etc./Games

[기타] Minehut으로 마인크래프트 서버 열기

Oshimaker XiBBaL 2023. 1. 20. 14:59
반응형

Minehut으로 서버 여는 법에 대해 간단하게 쓰겠다.

 

Minehut은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대신 호스팅해주는 사이트이다.

무료플랜과 유료플랜이 존재하는데, 친구 4명 이하로 플레이할거면 무료플랜으로도 나쁘지 않게 사용할 수 있다.

 

 

 

1. 사이트에 접속해 회원가입한다.

https://minehut.com/

 

Minehut - Free Minecraft Server Hosting

Minehut is the easiest place to start a customizable Minecraft server that gets discovered by players. Customize your hardware specs, add plugins, manage your files, get DDoS protection and automatic backups, and much more.

minehut.com

구글 계정으로 가입하면 된다.

 

 

 

 

2. 서버를 만든다.

https://minehut.com/dashboard/home

 

Minehut - Free Minecraft Server Hosting

These cookies are necessary for the website to function and cannot be switched off in our systems. They are usually only set in response to actions made by you which amount to a request for services, such as setting your privacy preferences, logging in or

minehut.com

  1. 위 링크로 들어가면 <create new server>라는 버튼이 보인다. 눌러주자.
  2. "영어로" 서버이름을 정한다. 나중에 서버 도메인이 될 이름이긴 하지만 진짜 아무거나 쓰면 된다. 다른 사람과 겹치면 면 다른 이름을 정하라고 한다.
  3. My Dasboard에 방금 만든 새로운 서버가 추가된다. <Activate Server>를 눌러주자.

30초짜리 광고를 보고 나면 서버가 켜진다.

 

 

 

3. 서버를 손본다

아래와 같이 서버를 관리할 수 있는 대시보드가 나온다. 연두색 연필 버튼을 누르면 수정할 수 있으니 취향대로 만져주자.

 

서버 접속은 서버 이름 옆의 복사 버튼을 누르면 복사되는 주소를 마인크래프트 <멀티플레이>의 <직접연결>에 넣으면 된다.

 

예를 들어 아래 사진의 서버 주소는 sdfhksajldhf.minehut.gg 이 된다.

 

 

<settings> : 아래로 내려보면 맵의 난이도는 어떻게 할지, 네더월드를 켤지 끌지 등등 기본적인 여러가지를 설정할 수 있다. 서버에 대한 간략한 설명도 적을 수 있다.

 

<console> : 윈도우의 터미널과 같은 개념이다. 서버의 동작 상태가 문자로 나온다. 명령어를 쓸 수 있다.

 

<add-ons> : 모드나 플러그인을 적용시킬 수 있다. 근데 솔직히 여러가지 모드 플러그인 쓰려면 버킷으로 여는게 맞다.

 

<file manager> : 서버 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 플레이중인 맵 정보 다운로드도 가능하다.

 

<world> : 맵을 저장하거나 시드를 입력하거나 초기화할 수 있다. 원래 하던 맵을 업로드 할 수도 있다. 탈출맵이나 건축물 관람 등에 쓰인다.

 

<backups> : 무료 플랜 기준으로 1슬롯의 서버 백업을 제공한다. 즉, 서버 백업 지점을 최대 1개 정해놓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소중한 서버였으면 버킷으로 여는게 맞다. 따라서 잘 안쓰게 된다.

 

<advertising> : 서버에 광고를 넣을 수 있다 ..!

 

 

 

4. 기타 알아두어야 할 것

Q&A형식으로 써보겠다.

 

Q. 서버에 설정된 마인크래프트 버전과 접속자의 마인크래프트 버전이 꼭 같아야하는가?

A. 당연

 

 

Q. 도메인 똑바로 쳐서 접속했는데 뭔 글씨가 쓰여있는 이상한 공간으로 전송됐다. 이게 뭐냐?

A. 너가 만든 서버로 가기 전까지 대기하는 대기실이다. 화면 맨 위쪽 가운데에 해당 서버로 전송되기까지 남은 시간이 뜰거다. 기다리면 된다. 

 

 

Q. 서버를 가만히 냅뒀더니 자꾸 꺼저셔 매번 켜야한다. 귀찮은데 방법이 없냐?

A. 접속자가 없는 상태로 10분정도 지나면 Minehut쪽에서 알아서 서버를 끈다. 아무 컴퓨터나 하나 접속해놓으면 안꺼진다.

 

 

Q. 만들 수 있는 서버의 개수는 몇개까지인가?

A. 무료 플랜 기준으로 일단 3개까지 만들어는 보았고, 동시에 활성화되는 것은 2개까지인듯 하다. 내 생각으로는 서버 한개 당 무료 플랜 기준 1GB의 램이 할당되는 것으로 보아 서버 두 개를 동시에 켠다고 해서 성능 저하가 일어나지는 않을 듯 하다.

 

 

Q. 마인크래프트 내 명령어 (gamemode 등)을 쓰려는데 권한이 없다고 나온다. 해결방법은?

A. 플레이어마다 op권한을 부여해주어야 한다. Minehut 서버 설정에 들어가서 <console>탭에 명령어를 쳐주자.

 

만약 플레이어 이름이 XiBBaL이면 아래와 같이 치면 된다.

op XiBBaL

 

반대로 권한을 뺏고 싶으면 아래와 같이 치면 된다.

deop XiBBaL

 

Q. 서버를 끌때 save를 따로 눌러줘야 하나?

A. 게임을 모두 나가고 가만히 냅두면 10분뒤에 알아서 저장하고 꺼진다. 임의로 꺼도 알아서 자동 저장 된다. 즉, 따로 저장 버튼을 누를 필요는 없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