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PE
Java 자료형 총정리 본문
Java의 자료형은 기본 자료형(Primitive data types)과 참조 자료형(Reference data types)으로 분류할 수 있다.

① 기본 자료형 (Primitive data types)
1. 정수형 (Integer types)
- `byte`: 8비트 부호 있는 정수 (-128부터 127까지)
- `short`: 16비트 부호 있는 정수 (-32,768부터 32,767까지)
- `int`: 32비트 부호 있는 정수 (-2^31부터 2^31-1까지)
- `long`: 64비트 부호 있는 정수 (-2^63부터 2^63-1까지)
2. 부동소수점형 (Floating-point types)
- `float`: 32비트 IEEE 754 부동소수점
- `double`: 64비트 IEEE 754 부동소수점 (ChatGPT에 따르면, double이 더 많이 사용된다고 함)
3. 문자형 (Character type)
- `char`: 16비트 유니코드 문자 (0부터 65,535까지)
4. 부울형 (Boolean type)
- `boolean`: 참(True) 또는 거짓(False) 값만 가짐
② 참조 자료형 (Reference data types)
1. 클래스 (Class)
-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 클래스는 필드(멤버 변수)와 메서드(멤버 함수)를 포함한다.
2. 인터페이스 (Interface)
- 메서드의 추상 집합을 정의하며, 구현은 클래스에 의해 제공된다.
3. 배열 (Array)
- 동일한 자료형의 여러 값을 담을 수 있는 자료구조.
4. 열거형 (Enum)
- 연관된 상수의 그룹을 정의할 때 사용되는 특별한 클래스 형태.
5. 기타 참조형 (Other reference types)
- `String`: 문자열을 나타내는 자료형. Java에서는 특별한 취급을 받음.
- 기타 사용자가 정의한 클래스나 라이브러리 클래스 등도 참조 자료형에 속합니다.
'[XiBBaL] Study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수(Constant)와 리터럴(Literal)의 정의와 관계 (cf. 프로그래밍에서의 상수와 수학에서의 상수) (0) | 2024.03.25 |
---|---|
컴파일러(Compiler)와 인터프리터(Interpreter)의 정의와 장단점 및 특징 (0) | 2024.03.25 |
부동 소수점 방식의 정의와 컴퓨터가 부동 소수점 방식을 취하는 이유 (0) | 2024.03.25 |
보수(Complement)의 정의와 컴퓨터가 음수를 보수로 저장하는 이유 (0) | 2024.03.25 |
Java의 반복문 문법 (0) | 2024.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