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PE

카카오페이 삼성페이 교통카드 비교분석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지원 등록 방법 포함) 본문

Etc./Debug Daily Life

카카오페이 삼성페이 교통카드 비교분석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지원 등록 방법 포함)

Oshimaker XiBBaL 2023. 1. 21. 22:24
반응형

여태까지 플라스틱 카드만을 사용하다가 이번에 폰을 바꾸면서 플라스틱 카드 대신 삼성페이를 쓰게 되었다.

교통카드 하나 쓰자고 지갑을 들고 다니자니 귀찮고, 카드 한장만 가지고 다니자니 잃어버릴것 같아서 폰에 교통카드 기능까지 같이 설정해두려고 한다.

글은 다음 순서로 써보려 한다.

  1.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VS 삼성페이 교통카드 비교분석
  2.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분석
  3.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경기도청소년교통비지원 등록 방법


1.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VS 삼성페이 교통카드 비교분석

모바일 NFC를 이용한 교통카드 서비스는 삼성페이와 카카오페이 두 군데서 서비스하는중이다.

두 군데 모두 기존의 플라스틱 카드를 등록하는 방식이 아닌, "새로운 교통카드를 발급해주는" 방식이다.

따라서 교통카드를 만들면 새로운 카드 번호를 부여받게 된다. 따라서 잔액도 새로 충전해주어야 한다.


아래에서 추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삼성페이 : 삼성페이 앱 실행 > 메뉴 > 아래로 내려서 [교통카드 추가]
카카오페이 : 카카오톡 앱 실행 > 맨 오른쪽 점 세개 [더보기] 메뉴 > 잔액 표시 아래의 [결제] > 오른쪽 위의 전철 모양 아이콘



두 플랫폼이 서로 장단점이 다른데, 비교분석해보겠다.

  장점 단점
삼성페이 교통카드 화면 꺼진채로도 정상 작동 수수료 3.3%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수수료 무료 일부 기기에서는 화면이 켜져있어야 동작
(안드로이드 OS 12부터는 화면 꺼져있어도 동작)


먼저 삼성페이는 3.3% (티머니와 캐시비 둘 중 어떤 교통카드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의 수수료가 부과된다.
솔직히 체크카드나 신용카드 쓸 때는 수수료 안 받다가 교통카드만 받는 게 의문스럽긴 하다.


카카오페이는 수수료가 없는 대신 안드로이드 OS 11이하에서는 LCD 화면이 켜져있어야 동작한다.
안드로이드 OS 12부터는 화면이 꺼져도 정상작동한다.

즉, 카카오페이 교통카드는 "카카오톡 앱"이 켜져있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휴대폰이 켜져있기만 하면 동작한다. (안드로이드 OS 12부터)

나는 안드로이드 OS 13을 사용중인데, 화면 켜진 상태에서도 꺼진 상태에서도 똑바로 잘 작동했다.


나는 개인적으로 3.3%의 수수료를 내기가 싫어서 카카오페이 교통카드를 선택했다.

다른 결제는 삼성페이로 하면서 교통카드만 카카오를 사용해야 하는 것이 조금 아쉽긴 하지만.. 수수료 문제때문에 이 정도는 감수하기로 했다.



2.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분석

  • 애플 아이폰은 국내 NFC를 미지원하므로 (230209 기준) 카카오페이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
  • 일단 내가 발급받은 카드는 맨 앞번호가 1040으로 시작한다. 기존에 쓰던 티머니 교통카드는 1019였다.
  • 카드를 발급해주는 업체는 "로카모빌리티"라고 명시되어 있다.
  • 검색해보니 로카모빌리티는 "캐시비" 교통카드의 운영사였다.
  • 후술할 경기도 청소년 지원금 신청 과정에서도 카드 종류 선택란에 "로카모빌리티"가 없는 대신 "캐시비"가 있으므로 "캐시비"를 선택해주면 된다.
  • 즉,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 캐시비 교통카드 모바일 버전 이라고 보면 되겠다.
  • 잔액환불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자동충전기능도 있으므로 카카오페이 교통카드와 연동해 쓰면 될 듯 하다.
  • 일반 플라스틱 카드처럼 소득공제 등록이 가능하다.
  • 카드를 삭제했다가 다시 만들어도 카드 번호가 같다. 즉, 한 카카오 계정에 하나의 카드가 부여된다고 봐도 무방할 듯 하다.



3.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지원 등록

https://www.gbuspb.kr/userMain.do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포털

02 교통카드 등록 및 지역화폐 등록

www.gbuspb.kr

위 사이트에서는 경기도에서 교통(버스, 전철)을 이용할 때 든 금액을 신청자에 한해 환급해준다.

  • 환급을 받을 수 있는 나이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13세∼23세 청소년"으로 명시되어 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부르는 청소년의 정의와 달리 성인임에도 만 23세까지는 환급이 가능하다. 따라서 대학생도 신청하면 환급받을 수 있다.
  • 환급 한도는 상반기 6만원, 하반기 6만원이며, 연간 2번 신청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위 사이트를 참고하자.



제일 중요한 것은 카카오페이-캐시비 교통카드도 저 포털에서 신청할 수 있는가의 여부이다.

카카오페이 교통카드도 엄연히 카드 번호가 존재하는 캐시비 교통카드이므로 모바일로 교통카드를 이용한 후 위 포털에서 신청하면 환급받을 수 있다.

위 포털에는 카드를 2개까지 등록할 수 있는데, 난 하나를 기존에 쓰던 티머니 플라스틱 카드, 나머지 하나를 카카오페이-캐시비 교통카드로 등록해두고 쓰고 있다.

반응형